Yesterday :
Total :
목록생활속의 IT 노하우 (50)
JunToday.com
최근 갑자기 아웃룩 보내고 받기를 했을 때 0x800CCC0F 에러와 함께 받기 오류로 신규 메일을 받지 못하는 현상이 있었다. 여기저기 검색해서 pst용량 문제나 레지스트리 문제 등 여러 원인을 확인했었는데 결론은 바이러스 백신이 문제였다. 나 같은 경우 카스퍼스키 프리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메일 감시나 예외 설정으로도 해결이 되지 않아서 결국 백신을 삭제한 후에야 정상적으로 메일을 받아 오는 것을 확인했다. 카스퍼스키 프리 제품에는 사용상에 문제가 좀 많아서 다른 백신을 찾아봐야겠다.
패스워드를 분실했을 때 시스코 스위치 공장초기화하는 방법. 1. 파워케이블 뺌. 2. 모드버튼을 누른채로 파워케이블 연결. 3. 장비에 따라 아래와 같이 진행. - 2900XL, 3500XL, 3550 모델 1번포트 LED불 꺼지면 모드버튼 손 뗌. - 2940, 2950 모델 LED가 5초 후 꺼지면 모드버튼 손 뗌 그러면 SYST LED가 깜빡임. - 2960, 2970 모델 SYST LED가 깜빡이다가 꺼지면 모드버튼에서 손 뗌. 모드버튼에서 손 떼면 SYST LED가 깜빡임. - 3650, 3750 모델 SYST LED가 15초 정도에 꺼지면 모드버튼에서 손 뗌. 모드버튼에서 손 떼면 SYST LED가 깜빡임. 4. flash_init load_helper boot switch: 이렇게 나오는지 ..
대충 LVM(Logical Volume Manager)의 개념을 보자면 말 그대로 볼륨을 논리적으로 관리하겠단 뜻이다. 아래 그림을 보면 대략적으로 이해가 빠르겠다. 대충 개념을 잡았으면 볼륨 확장 테스트를 해보자. OS는 CentOS release 6.7 (Final) 2.6.32-573.el6.x86_64이고 VM웨어에 설치하여 테스트했다. df(Disk Freespace)명령어로 기존 파티션 확인. # df -Th 추가된 물리적 디스크 인식 확인. # ll /dev/sd* 추가된 디스크로 새 파티션 생성. # fdisk /dev/sdb 현재 잡혀있는 PV(Physical Volume)확인. # pvscan 새로 만든 파티션을 PV(Physical Volume)으로 생성. # pvcreate /dev..
최근 인터넷 페이지, 쇼핑몰, 웹사이트 등의 이미지가 흐리게 나오거나 일부 표시되지 않거나 깨져보이는 현상이 있었다. 원인을 몰라 윈도우 재설치를 해야하나 생각하던 중 검색을 통해 카스퍼스키 이미지 깨짐 이슈를 알게되었다. 구글링 결과들.. 그래서 바로 설정을 바꿔봤다. 설정 보호의 웹 안티 바이러스 보안 레벨을 낮음으로 변경하고 고급 설정에서 Kaspersky 보호 확장 프로그램의 브라우저에서 Kaspersky 보호 확장 프로그램 자동 활성화 체크 해제. 일단 난 이렇게 해결했다.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러시아의 보안업체인 카스퍼스키랩의 개인사용자용 무료 백신인 "카스퍼스키 프리" 제품이 최근 카스퍼스키랩코리아를 통해 한국어 버전으로 출시되었다. 개인사용자용 무료 백신이라는 것은 기업이나 공공기관 등에서 사용하는 PC가 아닌 개인 사용자의 PC에 제한적인 기능을 가진 백신 라이센스를 무료로 제공하는 것으로 국내에서는 V3 Lite나 알약 등이 유명하다. 그래서 기존에 사용하던 아비라 프리 백신을 삭제하고 카스퍼스키 프리를 설치했다. 백신 다운로드는 카스퍼스키랩코리아(www.kaspersky.co.kr)에 접속하여 홈페이지 상단 '무료 도구'로 접근 '지금 시작' 버튼을 클릭하여 나타나는 페이지에서 기다리면 잠시 후 다운로드 받거나 바로 실행 할 수 있다. 설치는 그냥 다음 다음 눌러..
원격지에서 ssh접속을 할 때 로그인 메세지가 늦게 뜰 경우 보통 dns lookup 문제일 경우가 많다. 이럴 땐 /etc/ssh/sshd_config를 열고 useDNS항목을 no로 설정(useDNS=no)하고 저장한 뒤에 sshd를 재시작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있다.
[root@localhost ~]# dmidecode | grep 'Size.*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Size: 16384 MB Range Size: 3328 MB Range Size: 324352 MB [root@lo..
1. CPU 모델명 확인 grep "model name" /proc/cpuinfo | tail -1 2. CPU 전체 코어수(가상화 코어 포함)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3. 장착 된 물리 CPU 수 grep "physical id" /proc/cpuinfo | sort -u | wc -l 4. CPU당 물리 코어 수 grep "cpu cores" /proc/cpuinfo | tail -1 5. CPU정보 확인 cat /proc/cpuinfo
사용한 공유기 모델명 / 펌웨어 ipTIME N704BCM / 펌웨어 9.98.6 ipTIME N604T / 펌웨어 9.98.4 메인이 되는 공유기는 N704BCM을 사용했고 인터넷 라인은 WAN포트에 연결. 확장용 AP/허브로 사용할 공유기는 N604T인데 N704BCM의 1-4번 중 아무 포트에 랜선 연결 후 N604T의 WAN포트를 제외한 아무 포트와 서로 연결하면 된다. N704BCM의 설정은 거의 건드릴게 없다. 아마 내부 IP는 192.168.0.1(기본설정)으로 되어 있을 것이고 관리자 설정에서 공유기 관리 패스워드와 무선랜 관리에서 wifi비번 정도만 설정하면 된다. 중요한건 AP/허브가 되는 N604T인데 위에서 이야기한 N704BCM과 랜선 연결 전에 우선 설정을 위해 N604T의 전원..
엄마네 PC디스크가 깨져 디스크 교체 후 윈도우7으로 재설치를 하려는데 GPT파티션이라 설치할 수가 없다고 한다. 검색해보니 윈도우8이나 8.1은 GPT파티션을 사용하기 때문에 MBR방식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한다. 윈도우8.1에서 쓰던 디스크라서 이런가 보다. 암튼 윈도우7 설치 디스크로 부팅하고 다음다음하여 파티션 부분까지 갔을 때 'Shift+f10'을 누르면 명렁 실행창이 뜬다. 실행창에서 diskpart명령어를 실행시키고 list disk로 현재 장착된 디스크 목록을 확인한다. 목록에 디스크 0, 디스크 1 이런식으로 표시가 되는데 설정 초기화 할 디스크를 선택해야 한다. 0번 디스크를 선택할 경우 sel disk 0, 1번은 sel disk 1 이런식으로 선택하면 된다. 디스크 선택 후 clea..